반응형

윈도우7 정품인증 팝업이 지속적으로 뜨는것보다 짜증나는 상황은 없을겁니다.

인증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한개는 조금 불법을 저지르는 것이고

한개는 정식으로 키를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불법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ai1003h]

정식명칭은 A.I_1003H 인증크랙입니다.

불법프로그램에 속하다보니 개인적으로 구하셔야합니다.

구글검색을 추천드립니다.

 

사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1. 실행 - 7번 선택

 

 

프로그램을 다운받으셨으면 실행을 시켜야되겠죠?

하지만 한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불법프로그램이다 보니 백신을 모두 꺼주셔야 합니다.

실시간 감시만 종료해도 된다고 하지만 만약을 위해서 종료하시길 바랍니다.

실행이 되셨다면 7 을 누르고 엔터를 누릅니다.

 

2. 윈도우 버젼선택 - 기본으로 4번 선택

 

 

인증크랙을 사용하다보면 제일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버젼이 여러개일 경우에는 더욱 헷갈리게 되죠.4가지 버젼이 있지만 실제 사용되는건 4번입니다.

숫자 4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주세요

 

 

3. 프로그램 설치 - 1번

 

 

이제 끝입니다. 1번을 누르시고 엔터를 쳐주세요

짧게 인스톨이 완료가 됩니다.

 

알림팝업이 뜨고나면 정품인증이 된것입니다. 하지만 이 정품인증은 윈도우 업데이트까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것은 아닙니다.

주기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크랙을 막기때문에 보안패치가 이루어지면 인증이 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일좋은 방법은 정품을 사용하는 것이겠지요.

 

제어판 - 시스템 항목에 가셔서 정품인증 여부를 확인해봅니다.

제대로 정품인증이 되었군요.인증을 한후에 바로 제품 ID가 뜨는게 아니고 5초정도 기다리면 뜹니다.

 

 

 

* 정품키로 인증하는 방법

 

이외에도 정품인증을 하는 방법이 있는데 정식 인증키를 가지고 있는 경우

시작버튼클릭후 검색창에 cmd를 입력한 후 창이 뜨면 slmgr -upk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제품키를 삭제했다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그다음 slui를 입력합니다. v가 아니고 u입니다.

v인줄알았는데 u이더군요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위와같이 창이 하나 뜹니다.

여기에 가지고 계신 정품 키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키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위와같이 확인을 합니다.

확인이 완료되면 정품인증되었다는 메세지가 뜹니다.

간혹 버젼이 다른키로 입력이 안되신다고 하시는데 HOME에디션인지 프로페셔널인지 버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G3 cat6 마시멜로우 루팅법

 

근 몇년동안 삼성제품만 사용하다 몇달전에 싼맛에 사게된 G3 cat6

프리미엄폰은 의미가 없다는 걸 깨달아 싼맛에 LG로 옮겼는데

2인자는 역시 2인자

 

정보가 부족해

업데이트가 느려

뭔가 미묘하게 불편해!

 

2라는 숫자를 짊어졌다면 최소한 콩신을 부끄럽지 않은 모습을 보여줘야지...

 

어째든 비운의 G3 cat6 마시멜로우 루팅법소개입니다.

 

G3 cat6 마시멜로우 루팅은 니 여자친구 같아     

 

아직 없거든 

 

아니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현재 원클릭루팅 프로그램으로는

KingRoot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아직 정상적인 지원이 아닌관계로 임시루팅입니다.

즉 부팅하고 루팅하면 루팅상태지만

재부팅을 하면 풀려버립니다.

 

임시루팅상태에서 커펌을 올려서 완정 루팅하는 방법도 있으나

라이트한 루팅을 원한다면 그때그때 하는 방법도 나쁘지 않습니다.

 

 

 

KING ROOT

 

주소: https://kingroot.net/

 

타 블로그를 보니 adfly 등으로 파일첨부로 돈을 벌던데

정말 그런사람들

부럽습니다.

전 귀찮아서 못하겠어요 그런거

 

위 링크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후 설치를 합니다.

설치후에 실행을 해보면

실행화면

 

 

 

현재 핸드폰기종이 무엇이고 몇명이 도전했고 몇%성공이었는지 보여줍니다.

업적? 이력? 같은 개념입니다.

START ROOT 를 눌러보면

 

루팅 진행중

 

진행률이 나옵니다. 하단에는 영어로 친절하게

 "리부팅되도 걱정마세요"

라고 쓰여있습니다. 실제로 재부팅은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완료 화면

완료가 되면 위 화면이 보이고 루팅이 완료된것입니다.

마시멜로우가 아닌 킷캣인 경우에는 재부팅하여도 루팅이 유지됩니다.

이슈가 많은건 언제나 마시멜로우 뿐이죠

 

 

여담으로 G3 시리즈는 2가지 버젼이 있습니다.

국내용/해외용 국내용은 F460/F400 등이 있고

해외용은 D858/D855 등이 있습니다.

root 프로그램 자체가 해외에서 제작되다 보니 해외버젼용으로는 업데이트가 빠르지만

국내용은 더딜수 밖에 없습니다. 

 

 

Warning!!!

 

KINGROOT에는 몇가지 단점이 있으므로 반드시 숙지하시고

적용여부를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KINGROOT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핸드폰의  imei를 수집합니다.

imei란 핸드폰 일련번호입니다. 각 핸드폰마다 일련번호가 존재하며

이것을 수집해간다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왜 수집해갈까요?

 

제가 위에서 알려드렸던 업적? 성공률? 이라는 것을 통계내기 위해

수집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집을 못한다면 몇명이 시도했고 몇번실패했는지

알수 없기 때문입니다.

뭐 imei를 수집해가도 특별히 쓸데는 없지만 치밀한 사기에 이용할수도 있는 노릇이니

이점을 염두해 두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랜섬웨어 

어느날 갑자기 이상한 이름의(ex: !p)a,.+) 폴더가 생성되요.

 

컴퓨터를 잘모르는사람에게는 해당되지 않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에 조금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폴더 보기설정에서

숨겨진 파일 혹은 시스템 파일 보기 설정을 해놓으신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던 어느 순간부터(최근) 이상한 이름의 폴더명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실겁니다.

 

해킹당한것인가?

프로그램을 잘못깔았나?

 

노심초사하실지 모릅니다. 사실 저도 얼마전에 "랜섬웨어"에 걸려서

그것도 회사컴퓨터가!!

다행히 백업해둔게 있어서 포멧후 재설치를 했지만

그동안 가지고 있던 개인자료를 날려먹었죠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이상한 폴더가 생기는 이유는 다름아닌

랜섬웨어 때문입니다.

바이러스에 걸린거냐구요?

아닙니다.

 

반대로 랜섬웨어를 막기위한 폴더명들입니다.

 

 

WHY?

그러면 이폴더들은 어디서 생겨나는 것일까요?

그것은 V3 백신때문이었습니다.

 

 

여기서 랜섬웨어란 것을 간략히 설명드리면 해커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자의 PC의 파일들을 암호화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암호화를 풀어주는 댓가로 돈을 요구하는 방식이죠

물론 돈을 준다고 암호를 반드시 풀어주는것은 아닙니다.

 

최근 랜섬웨어가 국내에 다량으로 발생되어 회사/집을 불문하고 여러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거기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업체들은 랜섬웨어 패치를 내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랜섬웨어의 특성상 걸린다음의 치료는 거의 불가능한 수준으로

예방이 확실한 방법입니다.왜냐하면 파일암호화를 백신프로그램까지 해버려서

무력화 시키기 때문이죠.

 

그래서 백신업체는 특정이름의 폴더를 생성해두어 랜섬웨어가 동작하는 것을 막는것입니다.

백신 프로그램이 랜섬웨어를 막는 방법은 자세하게는 알수 없으나

프로그램이 동작시 백신이 캐치하여 막는 원리일겁니다.

 

저는 한번 걸린적이 있어서 주기적으로 파일명을 확인하는데

이상한 폴더명이 생겨서 혼자 식겁했습니다.

단지, 랜섬웨어의 종류가 많기때문에 하나하나 대응법을 찾아야하는 관계로

신규 랜섬웨어 발견시마다 폴더가 생길수 밖에없는 구조입니다.

 

단순 숨겨진 폴더이니 임의로 삭제를 하시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최후의 방어벽이니깐요.

 

반응형

+ Recent posts